에이스 접속 통계
  • 홈
  • 뉴스/리포트
  • 뉴스
  • 메일쓰기
  •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스크린 늘어도 트럭에 영사기 싣고 상영... 인도네시아 상영관 산업의 현재와 과제

2025.04.23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 조회수153

인도네시아 군소 상영관 체인 및 지역 상영관 현황

 

인도네시아 영화의 아버지 우스마르 이스마일(Usmar Ismail)이 첫 로컬영화 <피와 기도(Darah dan Doa)>를 크랭크인 한 것은 1950년 3월이었지만, 인도네시아에서 만들어진 첫 영화는 1926년 네덜란드 출신 영화감독 L. 후벌도르프(L. Heuveldorp)의 무성영화 <루뚱 까사룽(Loetoeng Kasaroeng)>이었다. 하지만 유럽에서 만들어진 영화들이 인도네시아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그보다 빠른 19세기 말이므로, 이를 상영한 상영관의 역사는 영화제작 역사보다 조금 더 연혁이 길다.

 

네덜란드 식민지 시절과 1942년 일본군 강점기를 거치면서 로컬영화들이 많이 만들어졌고 그만큼 상영관들도 많이 들어섰는데, 지방과 시골 오지에는 일본군 선전부가 트럭에 영사기를 싣고 돌아다니며 선전영화를 틀어주었던 순회상영 서비스의 전통이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다.

 

 

<출처: CGV Cinemas 제공> 

 

 

위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도네시아에는 2024년 4월 기준, 전국 상영관 427개, 스크린 2,228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1980~90년대에는 훨씬 더 많은 극장들이 전국에 분포해 있었다. 인도네시아 상영관사업자협회(GPBSI) 조니 샤리푸딘(Djoni Syarifudin) 회장은 당시 2,900개의 극장이 있었다고 하고, 영화 전문가 힉맛 다르마완(Hikmat Dharmawan)은 6,600개의 스크린이 있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당시 극장들은 지금과 같은 멀티플렉스가 아니었으므로, 스크린 한 개짜리 단관극장이 2,900개 있었다는 쪽이 좀 더 신빙성 있다. 하지만 어느 쪽이든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극장들이 성업하며 상영관 산업이 크게 발전했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다가 불과 몇백 개 수준으로 극장 수가 크게 줄며 산업 규모가 대폭 쪼그라든 것은 절대권력을 휘두르던 수하르토 대통령의 사촌이 ‘시네플렉스 21’이라는 상호로 상영관 산업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표 1> 맨 위에 등재된 Cinema XXI을 운영하는 모회사가 바로 시네플렉스 21이다.

 

CGV의 전신인 블리츠메가플렉스(Blitzmegaplex)가 2006년 등장하면서 상영관 산업은 지금의 독과점 형태로 서서히 변모했지만, 그 이전까지만 해도 Cinema XXI은 수하르토 재임 기간은 물론 1998년 하야 후에도 오랫동안 상영관 사업과 할리우드 영화 수입권을 독점했다. 시네플렉스 21이 1987년 설립된 후 불과 10년 사이에 수천 개의 상영관이 문을 닫아야 했으니, 절대권력을 등에 업은 탐욕스러운 기업이 업계 전반에 걸쳐 얼마나 전횡을 휘두르며 해악을 끼쳤는지 충분히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Cinema XXI은 수하르토가 하야한 지 2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압도적인 시장점유율로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Cinema XXI이 독주하던 시절, 일방적으로 그 뒤를 봐주던 정부 당국으로서는 지역 상영관들을 지원할 하등의 이유가 없었지만 1998년 이후 개혁정부가 들어선 후에도 상영관 산업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미미했다.

 

2014년 조코 위도도 정부가 시작된 후 16개 문화부문의 정책을 수립하는 창조경제위원회(Bekraf)가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되었지만, 상영관 산업에 대해서는 2016년 영화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 허용을 대폭 확대하면서 CJ나 멕시코의 시네폴리스(Cinepolis) 같은 해외자본의 합법적 진입을 열어준 것 정도가 전부였다.

 

지역 상영관에 대한 지원정책은 아직까지도 이렇다 할 만한 것이 나오지 않았다. 이는 상영관 산업이 기본적으로 대자본이 투입되어 장기간에 걸쳐 투자금이 회수되는 구조인 만큼, 중소기업에겐 진입장벽이 높아 대부분 대기업이나 대자본 운용이 가능한 기업가들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과 재력가들은 대개의 경우 정부의 지원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인구 대비 스크린 숫자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적은 지방도시와 시골, 오지는 영화 접근성이 크게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원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지역사회의 민간 영화 커뮤니티나 일부 지자체들이 과거의 전통을 되살려 트럭에 영사기와 가설 스크린을 싣고 다니며 시골 사람들에게 영화를 틀어주는 ‘라야르 딴짭(Layar Tancap, 차에 싣고 다니는 스크린)’이라는 순회상영 서비스가 있지만, 상업영화보다는 정책 홍보영상, 교육영화가 대부분이었다. 그마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에 모두 중단되었다가 최근 서서히 재개되는 추세다.

 

전국에 구 단위로 상영관을 설치하자는 제안이 최근 국회 예산위원회에서 나와 내년엔 일부 예산이 배정될 것으로 보이나, 상영관이 없는 구가 수천 개에 달하기 때문에 해당 제안의 실효성과 신빙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다른 한편에서는 영화 티켓 가격 균일화, 영화세 표준화를 통해 지방세 수입을 늘려 각 지역의 상영관을 포함한 영화산업을 지원하자는 화두가 관련 부처에서 나오고 있다.

 

 

<인도네시아 땅그랑 CGV찌꾸빠(Cikupa) 극장 전경. CJ CGV 제공>

 

 

지역 상영관 지원정책: 영화세 표준화

 

정부는 영화표에 붙는 세금을 전국 모든 지역에서 균일하게 통일하는 방식으로 영화세를 통제하기로 했다. 이 정책이 시행되면 영화표는 더 저렴해지고, 그 결과 지역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상영관을 찾게 되어 해당 지역의 소득이 더 늘어날 여지가 커진다는 설명이다.

 

지방세와 지방 교부금에 대한 2009년 기본법 28호에 따라 영화세는 지방세로 분류되며, 영화 유흥세는 최대 35%라고 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세율은 지역 규정(Perda)에 따른다. 그런데 각 지방이 영화세율을 결정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어 지역별로 영화세가 제각각인 것이 문제가 되어, 실제로 영화세 균일화에 대한 담론이 몇 년 전부터 논의되어 왔다.

 

지자체가 영화세를 정하다 보니 세율이 너무 높아 상영관을 세울 엄두가 나지 않는 지역도 생겼다. 해당 문제의 적정한 접점을 찾게 되면, 투자자들은 상영관을 열어 이익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지역 주민들은 다른 지역으로 갈 필요 없이 주거지 근처에서 영화를 즐길 수 있다.

 

관건은 법적 근거를 만들고 현장에서 유효한 시행령을 마련하는 일이다. 그 방편 중 하나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금융 관계에 관한 2022년 HKPD 기본법 1호를 시행한 것이다. 하지만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의 방침을 위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실제로 현장에서 해당 규정을 어떻게 시행하느냐가 중요하다.

 

상영관이 없던 지역에 상영관이 생기면 당연히 해당 지방의 세수가 증가하게 된다. 영화세는 지방세이기 때문에 해당 지자체가 이를 관리하게 되지만, 자칫 지역 주민들이나 투자자들에게는 호의적이지 않은 세율로 결정될 수 있어, 해당 세율을 전국적으로 균등하게 정하자는 것이 정부 당국의 입장이다.

 

팬데믹을 전후해 로컬 영화의 스크린 점유율이 64%까지 올랐는데, 영화세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하면 2014~2015년처럼 할리우드 영화가 다시 인도네시아 상영관들을 지배하는 상황이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관련 세수가 늘어나면 국가영화지원금에 유입되는 재원도 커질 것이다. 따라서 당국에서는 해당 규정을 대통령령으로 만들어 확정하려 하고 있다.

 

 

<KOFIC 통신원리포트 2024_Vol.35 인도네시아 군소 상영관 체인 및 지역 상영관 현황> 

상세 보고서는 영화진흥위원회 정책연구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 배동선 통신원

통신원리포트 원문(Click) 

 


Related New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