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스 접속 통계
  • 홈
  • 뉴스/리포트
  • 해외진출뉴스
  • 메일쓰기
  •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투자·창의성 위기 속 활로를 모색하는 한국 영화 산업

2025.10.22
  • 출처 TheKoreaTimes
  • 조회수39


왼쪽부터 채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황만순 코리아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대표, 이재명 대통령, 이한경 에코앤파트너스 대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출처 공동취재단 >

 

한국의 급성장한 문화콘텐츠 산업이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해 있다. 특히 ‘범죄도시(The Roundup)’ 시리즈와 같은 단일 성공 공식을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 영화 부문은 정부의 긴급 자금 지원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에 부딪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목요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채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한국의 문화 산업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지만, 동시에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경고음을 울렸다.

 

채 장관은 서울 대통령실에서 열린 회의에서 “K-컬처는 단순한 문화 현상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 경제의 핵심 엔진이자 미래 성장의 원천입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제가 직접 방문한 K-컬처 제작 현장은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엄청난 위기 상황에 처해 있었습니다. 회복의 촉매제가 되기 위해서는 긴급한 정부 자금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자금의 순환이 시작되어야 합니다.”라고 덧붙였다.

채 장관은 국내 영화 산업을 가장 절박한 분야로 꼽았다. 그는 “연간 약 60편에 달하던 상업영화 제작 편수가 2025년에는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고 밝혔다.

400편 이상의 영화를 투자·제작해온 CJ ENM조차 올해는 단 한 편의 자사 투자 한국영화만을 개봉했다.

 

그는 이러한 위기의 원인을 “넷플릭스 등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이 극장 흥행을 어렵게 만들고, 그 결과 투자 위축 → 제작 감소 → 생태계 불안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내 제작사들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도록 투자 위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채 장관은 “정부는 투자 손실충당금 비율을 현행 15%에서 20%로 상향하고, 정부의 이익 배분 비율을 줄일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민간의 초과이익 배분 비율을 30%에서 40%로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방송사 규제 완화와 저작권 침해 콘텐츠 차단 강화를 통한 불법 복제 근절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람객들이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귀멸의 칼날: 인피니티 캐슬홍보 설치물을 살펴보고 있다.<출처 Newsis >


박스오피스 현황은 정부의 신속한 대응이 왜 필요한지를 보여준다. 올해 국내 영화 산업은 천만 관객을 동원한 작품이 단 한 편도 없다. 한국 영화계에서 ‘천만 관객’은 전통적으로 흥행 성공의 기준으로 여겨져 왔다.

지난해까지 극장가를 장악했던 ‘범죄도시’ 시리즈의 신작이 올해 부재한 상황은, 산업이 특정 히트 프랜차이즈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2022년 ‘범죄도시2’가 1,260만 관객을 동원한 이후, ‘범죄도시3(노 웨이 아웃)’은 1,060만 명, ‘범죄도시4(퍼니시먼트)’는 1,150만 명을 기록하며 매년 천만을 돌파했다.

올해 최고 흥행작은 ‘좀비딸(My Daughter is a Zombie)’로 562만 관객, 그 뒤를 ‘야당: 스니치(YADANG: The Snitch)’가 337만 명으로 이었다. 지금까지 300만 관객을 넘긴 작품은 이 두 편뿐이다.

 

단일 프랜차이즈에 대한 의존은 국내 영화계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반면 일본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인피니티 캐슬(Demon Slayer: Kimetsu No Yaiba – Infinity Castle)’은 올해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국내 대작 영화들, 예컨대 ‘전지적 독자 시점(Omniscient Reader)’ 등은 천만 관객 클럽 진입에 실패했다.

 

한국 영화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업계 스스로 다양한 시도를 해야 관객을 다시 극장으로 불러올 수 있다”고 익명으로 말했다.

 

백병렬 기자

TheKoreaTimes 원문(Click)